로고

전체메뉴보기

열린번역 소개

열린번역서비스?

정의

고문서나 고서 등에 있는 초서들을 사람이 아닌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판독하고,
나아가 판독된 한자를 통해 문장으로 번역하는 시스템

기대효과

개인이나 단체가 가지고 있는 고문서 및 고서 등의 자료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통기록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 사업이 활발해질 것이다.

지원 가능한 이미지 파일 형식

jpg, png, bmp, jpeg/jfif, jpeg 2000

열린번역서비스 작동원리

1이미지 보정 단계

원본 이미지의 화질, 밝기, 명암, 선명도 등을 개선하여 프로그램이 명확하게 글자(한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

Before → After

2이미지 분할 단계

원본 이미지의 글자(한자)들을 번역하기 용이하도록 구분하는 단계

3문자 인식 단계

이미지 분할을 거친 글자 하나하나를 컴퓨터가 인식하여 추출하는 단계
이 단계에서는 추출된 초서를 현대 한자로 변환하여 읽는다.

吏曺光緖十五年二月日奉敎幼學朴興碩爲通仕郎行元陵參奉者光緖十五年二月日

4문장 구분 단계

띄어쓰기가 없는 한자의 특성에 따라 연속적으로 나열된 글자들을 문장 형태로 구분하는 단계

吏曺光緖十五年二月日奉敎幼學朴興碩爲通仕郎行元陵參奉者光緖十五年二月日

吏曺光緖十五年二月日

奉敎幼學朴興碩爲通仕郎行元陵參奉者光

緖十五年二月日

5번역 단계

프로그램이 문장 형태로 나뉘어진 한자들을 한글로 번역하는 단계

吏曺光緖十五年二月日

奉敎幼學朴興碩爲通仕郎行元陵參奉者光

緖十五年二月日

이조가 광서 15년 2월일 임금의 명령을 받듦.

유학 박흥석을 통사랑행원릉참봉에 임명한다.

광서 15년 2월일

6출력 단계

앞선 단계의 내용들을 이용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보여주는 단계

열린번역서비스 작동원리

1원본 자료를 디지털화 한다.(이미지 자료로 변환)

2이미지 파일을 번역시스템에 업로드한다.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눌러 원본을 업로드 한다.

원본(이미지) 업로드 방법 – 드래그&드롭

원본(이미지) 파일을 클릭한 상태로 끌어서(드래그) 열린번역서비스 박스 안에 ‘드롭’하여 번역을 실행합니다.

원본(이미지) 업로드 방법 – URL 붙여넣기

원본(이미지)에 대한 URL을 복사해서 열린번역서비스 URL박스에 붙여 넣고 ‘번역 실행’을 합니다.

3번역 결과 화면 창에서 세그먼트 된 부분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한다.

249번과 82번은 각각 한자가 아니고, 蒙 이란 한 글자이다.

4초서가 현대 한자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5번역을 통해 나온 문장을 확인한다.

‘해서체’‘한자별 음훈’에서 현대 한자와 일치하는지 알아보고, ‘번역’에서 문장을 확인한다.

닫기

오류신고